본문 바로가기

데이트폭력4

헤어진 여자친구의 임신사실을 직장에 공개한 남자친구 한 때 사귀던 사이인 여자 친구에게 계속 만남을 요구하다 거절당한 남자 친구는 여자 친구가 과거 임신했던 사실을 빌미로 문자메시지를 보내기로 마음먹었는데, 여자 친구가 근무하던 어린이집에도 이러한 사실을 알리겠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피해자를 협박하였다고 합니다. 1. 사건 개요 피고인은 피해자 B의 딸과 사귀다가 헤어지게 되었음에도 계속 피해자의 딸에게 만남을 요구하다가 피해자로부터 만류당하자, 피해자를 협박하기로 마음먹었다. 피고인은 2018. 8. 25. 10:00경 불상의 장소에서 피해자에게 " 임신했던 것도 상관없습니까? 나중에 불임되면 연락 주십시오, △△ 남자 친구 사귀면 그 남자 찾아가서 피임 얘기합니다"라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피해자를 협박하였다. 피고인은 2018. 8. 26... 2022. 9. 20.
데이트폭력과 2차 피해 유형 그리고 대처방법 데이트 폭력 피해자들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것은 바로 2차 피해입니다. 주위의 수군거림, 놀림, 핀잔, 질책은 피해자들에게 큰 상처로 남는다고 합니다. 특히, 피해신고를 한 이후 수사기관이나 언론에 의한 피해, 법원을 통한 피해, 그리고 직장 내에서의 피해는 심각한 후유증을 남깁니다. 1. 피해자에게 더욱 가혹한 2차 피해 가. “2차 피해”란? “2차 피해”란 피해자가 ① 수사·재판·보호·진료·언론보도 등 사건 처리 및 회복의 전 과정에서 입는 정신적·신체적·경제적 피해, ② 집단 따돌림, 폭행 또는 폭언, 그 밖에 정신적·신체적 손상을 가져오는 행위로 인한 피해(정보통신망을 이용한 행위로 인한 피해 포함) 또는 ③ 사용자로부터 폭력피해 신고 등을 이유로 입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불이익 조치로 .. 2022. 9. 19.
피해자의 데이트폭행 신고에 대한 보복으로 피해자를 폭행한 사안 피해자와 피고인은 연인관계에 있었던 사이로서 피해자가 피고인으로부터 협박을 당하였다는 신고를 하고 경찰서로부터 데이트 폭행 경고장을 받은 피고인이 피해자를 폭행한 사안입니다. 데이트 폭력과 스토킹은 서로 밀접히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사기관의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1. 사건 개요 피고인은 피해자 B(여, 55세)과 연인관계였던 사이이다. 피고인은 2020. 4. 17. 16:20경 안양시 만안구 소재 피해자가 운영하는 ○○고시원에서, 피해자가 같은 날 16:00경 피고인으로부터 협박을 당하였다는 취지로 안양만안경찰서 안양지구대에 신고하여 위 지구대에서 데이트폭행 경고장을 받았다는 이유로 피해자를 찾아가 피해자가 쓰고 있던 마스크를 세게 잡아당기고, 양손으로 피해자의 머리를 2회 때리고, 도망치려.. 2022. 9. 16.
데이트폭력 신고와 대처방법 데이트폭력을 당한 경우 통상적인 방법으로 신고하고 대처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에 정책적인 배려로 데이트 폭력 피해자들의 신고와 대처를 용이하게 도와주기 위해 상담소와 해바라기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조해서 도움을 요청해보시기 바랍니다. (1) 상담소 및 해바라기센터 스토킹이나 데이트폭력으로 인한 피해가 성폭력 또는 가정폭력 피해와 중복되어야 지원 가능했던, 상담을 비롯한 다양한 지원서비스가 스토킹 또는 데이트 폭력 피해만으로도 지원 가능하도록 확대되었습니다. 1) 상담소의 설치・운영 스토킹이나 데이트폭력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치·운영하고 있는 상담소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 .. 2022. 9. 10.